원팀리더십 : 한국축구대표팀에 ‘팀의 길’을 묻다
오늘 한국축구대표팀과 러시아 평가전이 열리죠♪이번 경기는 피파 랭킹 포인트와도 영향을 주면서2018 러시아 월드컵시드 배정이 진행되는 만큼,중요한 경기인 만큼 어떤 결과를 낼지가 궁금해요하지만 최근 한국축구대표팀 경기력 난조와 함께어렵게 9회 연속 원드컵 진출을 결정지을 정도라많은 분들이 걱정도 하고 실망하고는 하실텐데요최강의 조직으로 일컬어지는 원팀(ONE-TEAM)신화를 알아보면서 한국축구대표팀의 현 주소와나아가야 할방향 역시 탐구하는 시간을 가질 수있는 이정찬의 <원팀리더십>을 만나봤습니다!!<원팀리더십:한국축구대표팀에 팀의 길을 묻다>는총 6장으로 원팀이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알아보는 것을 시작으로, 팀의 뿌리가 되는 철학을통해 2017 U-20 월드컵에서 실패한 이유를 찾고위대한 팀을 만드는 위대한 선수를 어린 시절부터키워야 하는 이유 및예우의 중요성도 알아보구요대부분의 조직에서 숨기고 덮으려고 하는 갈등도무조건 해롭게만 보이보다는 에너지를 폭발시켜,갈등을 통합하여강팀으로 가는 길을 모색해보고홍명보, 최강희, 울리슈틸리케, 박지성, 기성용의각기 다른 스타일의 감독과 주장의 리더십을 통해함께 나아가야 할 길도 다양한 에피소드를 소개해저처럼 축구 문외한이더라도 보다 쉽고 재미있게읽었던지라,2018 러시아 월드컵 전 만나보시길추천해드리고 싶은 <원팀리더십>이었는데요^.^승리의 마지막 조건으로 전설을 만들기 위해서는문화 역시 빼놓을 수 없다는 요소로 뽑고 있어요단순히 우리나라 축구대표팀과 K리그 구단 외에해외 유명클럽과 전설적인 축구선수들의 사례와최근 대표팀 FIFA랭킹 1위를자랑하는 벨기에의조직을 분석해 최강의 조직을 알아볼 수 있어요<원팀리더십>과 함께 팀의 깊을 살펴보세요>.<
원 팀(ONE-TEAM)이란 무엇인가? 원 팀은 곧 최강의 조직인가?
스포츠를 통해 사회를 파헤쳐 온 기자, 원 팀의 신화를 해부하다!
세상에는 무수히 많은 ‘팀’이 존재한다. 학교, 직장, 인터넷 커뮤니티, 동호회 등등 다양한 형태와 목표를 가진 팀들이 우리의 삶을 구성한다. 그런데 유독 한국 사회에서는 팀과 조직의 구성원들이 하나의 가치로 뭉친 ‘원 팀(One-Team)’이라는 신화가 강조되고 있다. ‘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 모두 하나로 똘똘 뭉치자!’ 우리가 늘 들어 왔던, 당연하고 근사하게 들리는 말이다. 이는 축구를 포함한 스포츠 현장에도 어김없이 적용되어, 원 팀의 미덕은 한국 스포츠계를 강력하게 지배하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인 이정찬 기자는 오랜 기간 스포츠 현장에 몸담아 오면서, 스포츠뿐만 아니라 현실의 조직 경영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한 가지를 확신하게 되었다. 원 팀은 강팀이 될 수 있는 여러 방법들 중 하나에 불과하다고. 심지어 원 팀이 될 것을 강요함으로써 수많은 부작용이 발생한다고.
저자는 한국축구대표팀, 2017 U-20 월드컵대표팀, K리그 클럽, 그리고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바르셀로나, 레알 마드리드 등 해외를 포함한 수많은 축구팀들의 사례를 제시하며 ‘팀의 길’을 차례차례 찾아나간다. 또한 박지성, 홍명보, 신태용, 슈틸리케 등 저자 스스로 만나 보고 배움을 얻은 리더들의 각기 다른 리더십을 분석하며 팀을 이끄는 이상적인 리더란 어떤 존재인지에 대해서도 모색한다. 그러면서 우리가 진정 추구해야 할 가치가 맹목적인 ‘원 팀’이 아니라 시대에 맞는 팀 철학과 문화에 있음을 주장한다.
추천의 글
서문
1장. 원 팀One Team은 신화神話다
1 원 팀이란 무엇인가
2 원 팀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3 원 팀이 졌다, 그러나 원 팀은 깨지지 않았다
4 원 팀이 패배한 이유
5 홍명보 감독의 복기, 의리에 갇힌 원 팀
6 원 팀의 배신, 원 팀은 신화다
2장. 철학, 팀을 뿌리 내리다
1 철학의 빈곤
2 팀 철학의 정의
3 팀 철학의 뿌리
4 팀 철학의 진화
5 팀 철학과 개인
6 팀 철학의 위기
7 팀 철학의 정립
8 2017 U-20 월드컵, 철학에서 실패하다
3장. 위대한 선수, 위대한 팀을 만들다
1 위대한 선수 없이는 위대한 팀도 없다
2 위대한 선수의 두 가지 요건
3 위대한 선수를 예우하라
4 위대한 선수, 팀이 키워라
5 위대한 선수가 되려는 개인의 ‘노오력’
4장. 갈등, 에너지를 폭발시키다
1 갈등이란 무엇인가?
2 우리는 왜 갈등을 막으려, 숨기려, 심지어 덮으려 하는가?
3 갈등은 무조건 팀에 해로운 것일까?
4 갈등과 불만도 에너지다
5 갈등, 그 에너지를 폭발시켜라
6 갈등을 통합하라, 그렇게 강팀이 돼라
5장. 리더, 함께 나아가다
1 ‘가디언’ 홍명보
2 최강희 감독의 레버티 효과
3 울리 슈틸리케, ‘자율’로 ‘규율’을 세운다
4 박지성, ‘카리스마 시대’의 종식 선언
5 기성용의 매직 밴드
6장. 문화, 승리를 계승하다
1 팀 문화의 집약체, ‘전설’을 만들어라
2 이기는 습관, 전통을 이어 가라
3 문화는 코어 근육, 함부로 바꾸려 들지 마라
4 지지자들이 최강의 팀을 완성한다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