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기史記 세트


우선 이런 소중한 책을 계획하고 완역해주선 김원중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하다는 말을 드리고싶다. 출판사에서 이런 멋진 디자인으로 책을 내주신것도 감사할따름이다. 두고두고 곱씹으며 읽어야되겠지만 많은 지혜를 얻을수있어좋다.대충 읽어만봐도 번역이 어럽지않게 친절함이 드러나있어좋다. 이 책을 계기로 김원중 교수님의 다른 고적 번역서도 주문하기 시작했다. 이런 지혜가 담김 도서는 자식들에게도 꼭 물려줘야될듯싶다.
세계 최초 완역 후 사기 전권을 모두 아울러
전면 대조하고 바로잡은 개정판

중국 정사의 효시
동양 역사학의 전범典範

개정 작업으로 더욱 완벽해진, 최고의 사기 번역본

대표적 인문학 스테디셀러로서 판과 쇄를 거듭하며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 온 김원중 교수의 사기 시리즈가 전면 개정되어 민음사에서 다시금 출간되었다. 2011년 개인으로서는 세계 최초로 사기 전권을 완역해 낸 김원중 교수는 사기 전체의 맥락에서 용어의 미묘한 차이들을 찾아내 어감을 살리고 해제와 주석을 손보는 한편, 그간 각 편의 말미에 있던 주석을 모두 각주로 옮겨 더 읽기 편하도록 했다.

이로써 완간 후 다시 4년 만에 본기, 세가, 열전, 서까지( 사기 표 는 기존 판 내용을 유지) 사기 의 개정 작업이 완료되어 전체적으로 통일성과 일관성을 더 갖춘 명실상부한 사기 의 최고 번역본으로 자리 매김하게 되었다.

진시황이 중국 영토를 통일했다면, 사마천은 관념적 ‘통일 중국’을 처음으로 만들어 냈다고 일컬어질 정도로 사마천의 사기 가 가진 영향력은 오늘날까지도 지대하다. 사기 는 「본기」 12편, 「표」 10편, 「서」 8편, 「세가」 30편, 「열전」 70편 등 총 130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전체 형식으로 쓰인 첫 역사서이다. 시간적으로는 상고(上古) 시대부터 한나라 무제 때까지 아우르며, 공간적으로는 옛 중원을 중심으로 주변 이민족의 역사까지 다루었다.


개정판 역자 서문
역자 서문
해제
일러두기

1. 예서(禮書)
도덕규범은 씨줄과 날줄처럼 얽혀 있다
예란 인간의 욕망과 원망, 절제의 집합체다
예는 견고한 갑옷과 날카로운 무기보다 무섭다
성인의 조건은 예의 유무다

2. 악서(樂書)
정치가 잘못되면 음악도 음란하다
음악의 탄생은 사물에 대한 감동에서 비롯된다
예악이 확립되어야 정치가 고르게 된다
덕행이 이루어지는 것을 먼저 하라
예란 성정과 음양강유의 기운이다
덕이란 인성의 근본이며, 악이란 덕행의 꽃이다
악은 마음을 다스리고 예는 몸을 다스린다
군자가 음악을 들어야 하는 데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공자가 빈모가와 음악에 대해 담론하다
자공이 미천한 악공에게 음악을 묻다
음악이란 망령되게 연주해서는 안 된다
성왕이 음악을 즐긴 것은 다스림 때문이다

3. 율서(律書)
적진의 구름을 바라보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팔풍의 대응 관계
율수를 계산하는 방법

4. 역서(曆書)
왕이 되려는 자가 역법에 정통해야 하는 이유
역술 「갑자편」의 내용
제1장(章)의 수(首): 동지(冬至)가 자(子)에 올 때
제2장의 수: 동지가 유(酉)에 올 때
제3장의 수: 동지가 오(午)에 올 때
제4장의 수: 동지가 묘(卯)에 올 때

5. 천관서(天官書)
모든 천성관을 서술하다
항성: 동궁
항성: 남궁
항성: 서궁
항성: 북궁
세성: 목성
형혹: 화성
전성: 토성
오행성의 움직임
태백: 금성
진성: 수성
이십팔수와 분야의 관계


괴이한 천상(天象)을 점치는 법
구름과 바람 및 그 외의 것들을 점치는 법
1년의 점
모든 군주와 제왕들이 해와 달의 운행을 관찰한 이유
떨어져 나간 문장들

6. 봉선서(封禪書)
요사스러움은 덕을 이기지 못한다
진시황이 수덕을 얻고 봉선 의식을 거행하다
사악과 오악에 제사 지내는 방식이 다르다
천지의 귀신에게 제사 지내는 방식도 다르다
귀신을 미친 듯 추종하다가 사기꾼들에게 우롱당하다
집권 후기에 들어 황당한 봉선과 구선 의식을 거행한 한 무제
무제가 노년에 더욱 봉선과 신선의 환상에 빠져들다

7. 하거서(河渠書)
진 대 이전의 수해와 치수의 역사 그리고 정국거의 유래
운하를 파다가 용의 뼈를 발견한 이야기

8. 평준서(平準書)
재물이 넘쳐 나도 걱정이다
전쟁은 국가에 크나큰 피폐를 가져온다
부유한 자들이 돈 버는 방식은 다르다
통치자가 교만하고 사치스러우면 통제를 강화한다

[부록] 보임소경서(報任少卿書)
선비는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 일하는 법
나 같은 사람이 무슨 말을 하겠는가
속된 사람들에게는 일일이 설명해서는 안 된다
치욕 속에서 대작이 탄생하다
치욕을 생각하면 하루에도 아홉 번 창자가 끊어진다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