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환율의 이해와 예측


제가 일년에 전문서적 100권 읽기에 도전하고 있는데 환율책도 한 권 샀어요. 환율의 이해와 예측이란 책인데 갈수록 상식이 쌓이는 것 같아요. 환율 변동의 요인이나 앞으로의 전망... 금융 위기에서 참... 환율을 보는 관점에 대해서 이해하기 쉽게 풀어노은 내용들로 전반적으로 깔아놓았더군요.환율 공부하시는 대학생들에게 추천드려요. 아마 수능에서도 요즘엔 이런 문제들이 나오지 않을까 하네요. 제가 봤을 땐 이 책은 한 번을 읽어야할 필수도서라 생각해요. 많은 분들에게 꼭 한 번 사서 읽어보시라고 강력 추천합니다!!!!!!
저자가 오랜 기간 한국은행 및 IMF 이코노미스트로서 쌓은 환율 지식과 외환당국자로서의 실무 경험을 모두 담아서 쓴 책으로 독자들이 환율변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종합적인 직관력을 키워 합리적으로 환율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환율변동은 국제수지나 물가 및 경제성장률 등 기초경제여건 만으로 설명하기 매우 어려우며 정확한 환율예측을 위해서는 제반 환율변동 요인들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사고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실제 외환시장에는 환율의 상승요인과 하락요인이 항상 혼재되어 있고, 장기적인 요인과 단기적인 요인도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나라마다 특정 요인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고, 또한 한 나라에 있어서도 시기별로 그 영향이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책을 내면서

제1장 총 설

제2장 물가와 환율
통화의 상대적 구매력이 환율을 결정 29
환율은 자국물가와 상대국물가의 비율 31
환율변동률은 두 나라간 물가상승률 차이 36
구매력평가는 단기보다 장기에서 잘 성립 38
구매력평가의 성립 여부는 나라마다 상이 40
구매력평가는 실물변화를 반영하는 데 미흡 42

제3장 국제수지와 환율
환율은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 49
국제수지 흑자는 외환시장으로의 외환순공급을 의미 52
환율은 은행간 외환시장에서 결정 61
국제수지와 은행간 외환수급 사이에는 괴리도 발생 64
국제수지가 환율에 미치는 단기적인 영향은 불명확 67
외채증가는 환율상승요인 70

제4장 통화와 환율
환율은 두 나라 통화의 상대가격 75
통화공급은 물가상승을 통한 환율상승tj 요인 76
통화공급은 금리하락을 통한 환율상승요인 79
통화정책은 채권수요 변화를 통해 환율에 영향 86
주요국 정책금리 변화는 국제자본이동을 초래 90

제5장 재정정책과 환율
재정정책이 단기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불명확 99
자본이동성이 클수록 재정정책의 환율 영향이 증대 101
국채발행 증가는 장기적인 환율상승요인 105
유럽 국가의 재정위기는 유로화 약세요인 107
재정수지 악화는 장기적인 통화가치 하락요인 111

제6장 균형환율
균형환율은 기초경제여건에 부합하는 환율 117
균형환율은 환율예측에 유용 119
균형환율의 추정방법은 매우 다양 121
IMF는 회원국의 균형환율 수준을 평가 133

제7장 외환시장개입
외환시장개입은 환율안정이 주목적 139
개입시기는 당국이 재량적으로 판단 151
외환시장개입은 통화정책 수행에 영향 153
개입효과는 정책신뢰성에 좌우 158
외환시장개입은 주로 현물환시장을 대상 162
외환시장개입은 정부와 중앙은행이 공동 수행 163

제8장 외환파생상품거래와 환율
외환시장거래는 현물환 및 파생상품 거래로 대별 171
파생상품거래는 외환포지션변동을 통해 환율에 영향 174
선물환거래는 국제수지와 무관한 환율변동요인 177
역외 NDF거래는 환율변동성 확대를 초래 180
외환스왑거래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 186
통화스왑금리는 장기외자조달 수요를 반영 195
옵션거래는 델타헤징을 통해 환율에 영향 198

제9장 외환·금융위기와 환율
외환·금융위기시 환율은 비정상적으로 급등 207
외환위기의 발생 원인은 국별 및 시기별로 다양 210
2008년 금융위기는 범세계적 외화유동성위기 222
금융위기시 위험지표들이 환율과 동반 상승 227

제10장 기대, 미시적 정보 및 기술적 분석
기대환율 변화는 실제 환율변동을 초래 239
뉴스는 단기적인 환율변동요인 241
주변국 환율과의 동조화는 기대환율을 반영 243
미시적 정보는 시장심리파악 및 환율예측에 유용 249
기술적 분석은 펀더멘털 분석을 보완 256

참고 문헌 261
찾아 보기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