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선택하게 된계기는 우선 연말에 빨리 읽을거리를 하나 구해보고 싶다는 마음에서 세계문학 류를 뒤진 것데에서 비롯되었고 그 다음으로는가장 먼저 이 책을 평한 처음의 한줄평이 매우 인상적이었기 때문이다.(그 분께는 추천을 남겼다.)식인주의라는 개념은 이 책의 해설을 통해 알게 되었는데 아마 그런 해설이 없었다면 보르헤스나 마르께스와 다소 궤를 달리 하는 환상문학의 일종으로만 이해를 했을 듯하다. 해설의 제목은 브라질 민족의 탄생과 정체성에 대한 우화 인데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이 브라질 민족의 정체성에 대한 것이란 부분은 동의하지만 브라질 민족의 탄생이란 명시에는 동의하기가 어렵다.책의 전개 과정에 등장하는 시대상이 그런 해석에의 동의를 주저하게 만든다. 마쿠나이마는 사람의 이름이다. 탄생과 관련한 신화는 제시되지 않지만 아주 어릴 때부터 성욕을 발휘해서 여러 여성과 성관계를 갖는데 이때 보여지는 그의 변신 모습은 신화스럽다라고 표현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이런저런 모험을 하며 죽을 고비를 넘기고 때론 죽기도 했다가 다시 살아나기도 한다. 마치 고대의 이야기처럼 전개되던 장면들이 현대의 도시 속으로 연결되면서이 이야기의 상황이 지금 이 순간임을 알린다. 처음에는 매우 당혹스러웠던 부분들이다. 이것들이 하나 하나 떼어놓고 보면 농담 같고 헛소리 같이 느껴지는데 줄줄이 읽어나가다 보면 잘 꾸민 현대의 신화를 읽는 것처럼 다 읽어내게 된다. 신기하다고 할까?긴 내용이 아닌데다 (본문만 220쪽 분량) 내용을 풀어나가는 과정이 간단히 설명하기쉽지 않으므로 다들 읽어보시기를 권한다. 어찌 보면 잔혹할 수 있는 내용도 잔혹하게 느껴지지지 않도록 푼다.번역자의 해설에 많은 도움을 받았으며 새로 이 책을 읽으시는 분이 계시다면 먼저 해설을 읽어보시고 본문을 읽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브라질 식인주의 운동을 이끈
‘국민 작가’ 마리우 지 안드라지의 대표작
마쿠나이마 는 이른바 ‘식인주의 운동’으로 잘 알려진 1920년대 브라질 모더니즘 문화 운동의 상징적인 작품으로, 브라질 문학의 대표적인 고전이다. 아마존 정글 출신의 반영웅(反英雄) 마쿠나이마가 정글을 떠나 도시로 와서 브라질의 국가 정체성을 상징하는 물건을 빼앗기 위해 식인 거인과 싸워 이긴 후 다시 정글로 돌아간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브라질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모색을 유쾌하고 토속적인 풍자 속에 녹여 낸 이 작품은 시대를 초월하여 브라질적 상상력의 원천으로 작용하며 이후 브라질의 모든 문화 텍스트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1969년에는 브라질 신영화 운동인 시네마 노부(Cinema Novo)의 자장 안에서 조아킹 페드루 지 안드라지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어 주요 영화제에서 많은 상을 수상하였다.
1. 마쿠나이마
2. 성장기
3. 숲의 어머니 씨
4. 거대한 뱀 카페이-달
5. 식인 거인
6. 프랑스 여자와 거인
7. 마쿰바 의식
8. 태양 베이
9. 아마존 여인들에게 보내는 편지
10. 파우이-포돌리, 무툼 아버지
11. 늙은 세이우시
12. 마약상, 참새와 찌르레기, 그리고 인간의 불의
13. 지게의 괴로움
14. 무이라키탕
15. 오이베의 내장
16. 우라리코에라 강
17. 거대한 곰
에필로그
주
해설 - 브라질 민족의 탄생과 정체성에 대한 우화
판본 소개
마리우 지 안드라지 연보
카테고리 없음